우리는 보통 이런 고민을 합니다.

  • “페이스북, 인스타그램에 네이버까지, 마케팅 채널별로 KPI 언제 다 세팅하지?”
  • “성과 측정도 애매한 브랜드 관련 KPI는 어떻게 잡나..”
  • “KPI 세팅, 다른 케이스 따라 하기에는 우리랑 너무 안 맞는데…”

왜 이렇게 고민을 하게 되고 KPI 수립은 항상 어렵기만 한 것일까요?

먼저, KPI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이 그림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?

확실한 생각은 하나 바로 떠오르실 겁니다.

우리의 관습을 붙여보면 “B 팀이 A 팀을 압도하고 있다.”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. 이 스코어를 보면 머릿속에 경기의 양상 두 팀의 승패 그리고 경기의 일정한 흐름까지도 유추가 가능합니다. 경기의 흐름과 승패의 향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지표, 바로 KPI의 역할입니다.

그럼 이제 다른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.


날씨가 요즘 참 덥습니다. 근데 몇도 가 되면 더운 걸까요????? 보통 30도가 넘으면 더운 건가요? 이런 생각은 우리의 기준일 수 있습니다. 더운 나라에서는 30도가 별로 안더운 날씨 일수도 있습니다.

이렇게 해석이 달라지는 이유는 측정의 기준이 상대적이기 때문입니다. 기온은 절대치를 가지고 있지만 주관적 의미의 해석이 들어가기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데요.

위의 예 처럼 KPI는 우리를 혼란에 빠트리는 기준, 해독, 해석, 비교치와 단위 같은 혼란의 기재들이 존재하고있습니다.

그렇다면 혼란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현재 설정하고 관리하는 KPI가 ‘누가, 어떻게, 왜 이렇게 기준을 잡았나?’ 라는 질문을 계속적으로 던져봐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기준이 명료해지지 않고, 무엇을 개선해야 하며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하는지 혼란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KPI는 현재 우리가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를 알려주고, 우리가 무엇에 주의를 기울이고 어떤 조치를 취해야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. KPI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면, KPI 셋팅이 잘못된 것일 수 있습니다. 잘못된 KPI 셋팅은 우리로 하여금 잘못된 실천을 하게 됩니다.

KPI를 설정하고 관리한다는 점, 왜 항상 고민되고 어렵게 느껴지는지 이제 조금 이해가 되시나요?????

다음 포스팅에서는 디하이브가 비즈니스 목표 중심의 KPI를 어떻게 프레임웍하며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효과적인 성과 관리를 하는지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. 그럼 조금만 기다려주세요 ????